통조림과 캔음료 섭취 증가, 얼굴 화장 줄어든 이유는?
최근 국립환경과학원이 공개한 제5기 국민환경보건 기초조사 3차 연도 결과 요약문에 따르면, 통조림과 캔 음료 등 캔 음식을 섭취하는 빈도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반면, 얼굴에 화장하는 사람들의 수는 감소했습니다.
캔 음식 섭취 빈도 증가
국민환경보건 기초조사는 국민의 몸 안에 환경유해인자 농도를 파악하기 위해 3년 단위로 실시됩니다.
이번 5기 조사는 2021년부터 2023년까지 진행되었으며, 총 6,608명(어린이와 청소년 2,329명, 성인 4,279명)이 참여했습니다.
조사는 설문조사와 생체시료를 채취해 분석하는 방법으로 진행되었습니다.
5기 조사 결과, 캔 음식을 주 4회 이상 먹는 비율은 성인 4.2%, 중고생 8.8%로, 4기 조사(2018~2020년) 당시 각각 3.7%, 7.5%보다 증가했습니다.
캔 음식을 주 1~3회 먹는 비율은 성인 17.6%, 중고생 37.5%로, 4기 조사(성인 19.3%, 중고생 38.8%)보다 감소했습니다.
한달에 1~3회 섭취하는 비율은 성인 40.7%, 중고생 40.3%로, 4기 조사(성인 34.8%, 중고생 37.1%)보다 증가했습니다.
캔 음식을 아예 먹지 않는 비율은 성인 13.4%, 중고생 37.5%로, 4기 조사(성인 16.7%, 중고생 42.1%)보다 감소했습니다.
캔 음식의 유해물질
캔 음식에는 비스페놀A와 파라벤 같은 유해물질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비스페놀A는 통조림 내부 코팅제로 사용되며, 파라벤은 음식에 박테리아, 곰팡이, 진균 등의 생성을 막기 위한 보존제로 사용됩니다.
이들 물질은 내분비계를 교란하고 생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화장품 사용 감소
반면, 스킨, 로션, 에센스 외 화장품을 일주일에 4번 이상 사용하는 비율은 성인 22.8%, 중고생 10.1%로, 4기 조사(성인 33.6%, 중고생 29.6%)보다 감소했습니다.
화장품을 아예 쓰지 않는다는 비율은 성인 60.2%, 중고생 69.9%로, 4기 조사(성인 44.7%, 중고생 42.0%)보다 크게 증가했습니다.
5기 조사는 코로나19 대유행 시기에 이루어져, 외출과 대면 활동이 줄어든 점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입니다.
화장품에도 파라벤이 보존제로 들어가므로, 화장품 사용 감소는 파라벤 노출 감소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성인 흡연율 증가
성인 흡연율은 16.8%로 나타났습니다.
1기 조사(2009~2011년) 때 성인 흡연율은 22.5%였으나, 3기 조사(2015~2017년) 때 16.0%로 감소했습니다.
4기 조사(16.3%) 때 반등한 후, 5기 조사에서도 증가세를 이어갔습니다.
전자담배를 사용한 적 있는 성인은 9.9%로, 4기 조사(8.0%)와 3기 조사(4.9%)보다 증가했습니다.
현재 흡연자의 45.8%가 전자담배를 사용해본 경험이 있으며, 이는 4기 조사(37.8%)와 3기 조사(24.5%)보다 높은 수치입니다.
어린이와 청소년의 간접흡연
어린이와 청소년의 간접흡연 비율도 조사되었습니다.
중고생의 6.6%, 초등학생의 3.4%, 영유아의 1.3%가 일주일에 한 차례 이상 간접흡연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유해물질 농도
이번 조사에서는 연령대별로 소변 중 수은 농도와 카드뮴 농도도 측정되었습니다.
수은 농도는 영유아 0.273㎍/ℓ, 초등학생 0.288㎍/ℓ, 중고생 0.337㎍/ℓ, 성인 0.352㎍/ℓ로 나이가 많을수록 높아졌습니다.
카드뮴 농도도 영유아 0.213㎍/ℓ, 초등학생 0.247㎍/ℓ, 중고생 0.289㎍/ℓ, 성인 0.945㎍/ℓ로 연령이 높을수록 증가했습니다.
성별로는 수은의 경우 모든 나이에서 남성이, 카드뮴은 성인에서만 여성이 높고 나머지 나이대에서는 남성이 높았습니다.
과불화화합물 농도
발암성 화학물질로 자연에서 분해되지 않아 '영원한 화학물질'로 불리는 과불화화합물의 혈청 내 농도도 조사되었습니다.
성인의 경우 물질 종류에 따라 0.97~12.1㎍/ℓ, 중고생의 경우 0.419~6.12㎍/ℓ로 나타났습니다.
결론 및 향후 계획
국립환경과학원은 5기 국민환경보건 기초조사 결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연내에 국민 환경유해인자 노출 수준 값을 통계청 국가승인통계로 발표할 예정입니다.
이번 조사 결과는 우리 일상에서 접하는 유해물질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워줍니다.
건강을 지키기 위해서는 가급적 유해물질에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는 것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