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억의 보리차, 이제는 잊혀진 풍경
초등학교 시절, 여름이면 시원한 보리차 한 잔이 그리웠던 기억이 떠오릅니다.
집집마다 끓여 마시던 보리차는 이제 거의 보기 힘든 풍경이 되었습니다.
일부러 유리병을 구입해 보리차를 담아보기도 하지만, 이는 일종의 놀이에 가깝습니다.
수돗물을 그대로 먹거나 끓여 먹는 가정은 이제 4가구 중 1가구 정도에 불과하기 때문입니다.
수돗물을 마시는 문화의 변화
보리차가 자취를 감춘 이유는 수돗물을 식수로 마시는 문화가 사라지면서입니다.
대부분의 가정에는 정수기가 자리 잡았고, 1인 가구의 경우 생수를 주로 마시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환경에도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칩니다.
정수기를 사용하면 전기를 사용하게 되고, 생수는 일회용 플라스틱 쓰레기를 발생시킵니다.
시민들의 불신과 불안
환경단체들은 수돗물을 마시는 문화가 빠르게 사라진 이유로 시민들의 불신과 불안을 지목합니다.
상수원이 오염되면서 수돗물을 꺼리게 되었고, 수돗물을 마시지 않을수록 상수원 보호에 무관심해지며, 다시 오염되기 쉬운 악순환에 빠졌다는 진단입니다.
환경부의 조사에 따르면, 물을 먹을 때 주로 이용하는 방법으로 '수돗물에 정수기를 설치해서'가 47.5%로 가장 많았고, '먹는 샘물을 구매해서'가 27.3%, '수돗물을 그대로 먹거나 끓여서'가 24.3% 순이었습니다.
세대 간의 차이
연령대에 따라 마시는 물이 크게 갈립니다.
60대 이상의 54.7%는 수돗물을 그대로 먹거나 끓여서 마십니다.
반면, 1인 가구의 51.2%, 20대 이하의 74.0%는 먹는 샘물을 사 마시는 비율이 압도적입니다.
즉, 청년 및 청소년들에게는 수돗물이 마시는 물이라는 개념이 거의 없다는 의미입니다.
먹는 샘물의 등장
먹는 샘물 판매가 시작된 시점은 불과 30년 전입니다.
1994년 3월 8일 대법원은 '깨끗한 물을 자신의 선택에 따라 마실 수 있는 헌법 상 국민의 행복추구권'을 이유로 먹는 샘물 판매 금지를 무효라고 결정했습니다.
이전에는 1988년 올림픽 때 외국인에 한해 한시적으로 먹는 샘물 판매가 허용된 바 있었습니다.
그러나 당시 수돗물에 대한 불신이 시작되면서 꾸준히 수요가 있었습니다.
대법원의 결정에도 반발이 이어졌습니다.
먹는 샘물 판매 허용은 정부가 수돗물 오염을 간접적으로 인정하는 셈이라는 지적이 있었고, 먹는 샘물을 사 먹을 형편이 안되는 이들에게 위화감을 조성할 수 있다는 이유도 있었습니다.
플라스틱 쓰레기 문제
먹는 샘물 판매가 허용되었지만 한동안 광고도 금지되었었습니다.
당시 보건사회부는 '무분별한 지하수 개발과 환경 훼손을 야기할 수 있다'는 이유를 들었습니다.
먹는 샘물이 늘어날 때의 문제점을 이미 인지하고 있었던 것입니다.
먹는 샘물 수요가 수돗물에 대한 불신과 불안을 타고 크게 성장하는 동안, 식수를 둘러싼 환경오염에 변화가 생겼습니다.
바로 먹는 샘물을 마시면 나오는 일회용 플라스틱 쓰레기들입니다.
국제환경단체 그린피스의 '2023 플라스틱 배출 기업 조사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일회용 플라스틱 쓰레기 3개 중 1개는 생수를 비롯한 음료류에서 나옵니다.
수돗물의 지위를 되찾아야
환경단체들은 플라스틱 쓰레기를 줄이고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수돗물이 다시 식수로서의 지위를 되찾아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수돗물, 즉 상수원을 잘 관리하고 보호하여 신뢰를 되찾는 것이 중요합니다.
서울 중구 환경재단에서 열린 먹는물네트워크 제1차 정책포럼에서 백명수 시민환경연구소장은 '1990년대 후반부터 발생한 하천(상수원) 수질오염, 수돗물 수질 위협, 그리고 시민 불신이라는 악순환의 고리에 빠져들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수돗물 관련 인프라와 공정이 개선됐지만 시민들의 불신은 더 깊어져 갔다'고 덧붙였습니다.
수돗물을 마시는 사람들이 많아야 상수원인 강에 관심이 커지고, 보호할 명분이 생긴다는 이야기입니다.
또한, 최동진 국토환경연구원 대표는 '선진국이 된 대한민국 시민들에게 수돗물이 유일한 식수원이 아니다'며 '이제 수돗물의 생산자나 공급자의 관점보다는 소비자인 시민들의 관점에 서야 한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제 우리는 환경을 생각하며 수돗물에 대한 신뢰를 회복하고, 다시 한 번 보리차를 끓여 마시는 풍경을 되찾아야 할 때입니다.
*다른 흥미로운 포스팅이 궁금하신 분께서는 여기를 클릭해 주세요^^
성공적인 체중 조절을 위한 건강한 다이어트 방법
성공적인 체중 조절을 위한 건강한 다이어트 방법기온이 올라가고 옷차림이 가벼워지는 시기, 많은 사람들이 체중 조절에 관심을 가지게 됩니다.그러나 ‘실패가 당연한 것이 다이어트’라는
wowinfor.tistory.com